Work 와 Play의 차이

Work [ wɜːrk ]

  • "노동"
  • 주어진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일을 하다.

 

Play [ pleɪ ]

  • "재밌게" 할 수 있는 일
  • 주어진 상황에서 해야 할 일을 하다.
    • This stadium plays well.
    • 이 경기장 상태가 좋네. (= 이 경기장은 제 역할을 하고 있군!)

무생물 주어 (Inanimated Subject) - 동작주 중심 언어(agent-oriented language)

  • Heavy rain prevented us from going out.
  • The wind blew the leaves away.
  • Nothing will do.
  • Nothing can stop us.
    • Nothing을 사용하면 문장의 길이를 현격히 줄일 수 있다. (경제성의 원리)

English Grammar & Phoenix

미리 정해진 걸 얘기할 땐 Simple Present가 최고임.

I'll having a meeting with my clients

  ~> I have a meeting with my clients

 

Conjunction

  • A who B    : A는 누구나면 B다.
  • A where B : A는 어디냐면 B다.

동작주 중심 언어 (Agent-oriented language)

사건의 원인/주체를 강조하기 위함.

 

가주어 (Preparatory Subject)

  • 원인불명인 경우에도 Subject는 존재해야 하기 때문에 만든 개념
  • 주로 { 상황, 날씨, 그리고 시간 } 개념에 사용
  1. It is very funny
  2. It is 5 / late / dark

부정 질문형에 대한 Yes / No 여부로 확인하는 동서양의 차이

영어에서 부정 질문형에 대한 Yes / No 는 대답의 내용에 따라 다르다. (참고: 링크)

  • You don't like A? (너 A 싫어하지 않아?)
    • Yes, I like ... (아니, 좋아해)
    • No, I don't like ... (, 싫어해).
  • Aren't you cold? (너 춥지 않니?)
    • Yes, I'm. (아니, 추워.)
    • No, I'm not. (, 안 추워)

 

동양은 상대방 중심 언어이기 때문에 (상대방에 맞춰) 대답의 내용과 반대되는 말로 시작하는 반면,

 

서양은 자기 중심 언어이기 때문에 대답의 내용과 일치하는 말로 대답을 시작한다.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

한국어

  • 동사 중심 언어 (~> 사물 간의 관계에 집중하기 때문에 그 연결되는 흐름에 집중함.)
  • 무주어(Subjectless) 구문이 존재함
    • 바람이 분다.

영어

  • 명사 중심 언어 (~> 객체 자체의 세부적인 속성에 집중하기 때문임.)
  • 문장 구조 : Subject + Predicate

at, on, in으로 보는 시공간 개념

at (점; point)

 

출처 : housecalldoctor

on (면; face, 맞닿는 이미지)

 

출처 : upwork

in (부피; 3D)

 

영단어는 용도(기능)에 따라 발음이 바뀐다.

live [ n.laɪv , v. lɪv ]

  • this lives : "이건 살아있다."
  • this live   : "이 삶"

every : 'ever (1)' + '-y (-가 많은)'

  1. 한 번도
  2. 최고급 (여느 때보다 더)
  3. 언제나, 항상
  4. 도대체 (<= ?)
    • Why ever did you agree?
    • 강조 느낌의 "한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