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bash 환경에서 아래 명령의 실행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export PATH=$PATH:/etc

 

기존의 경로(PATH)에 /etc 라는 새로운 경로를 추가하였다.

 

  ※ 해설

    ▶ export 명령어는 쉘 변수를 환경변수로 저장하는 명령어로, 문제는 기존 PATH에 /etc 경로를 추가한 것입니다. (참고)

 


2. 리눅스를 설치한 후 부팅을 하였는데, LILO boot: 프롬프트가 나오지 않고 LI 문자만 출력하고 부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디스크립터 테이블(Descriptor Table)이 깨졌다.
  2. 처음에는 부트 로더(Boot Loader)가 작동하였으나 Map 파일에서 디스크립터 테이블을 로드하지 못할 때 
  3. 두 번째 단계의 부트 로더(Boot Loader)가 작동하였으나 Map 파일에서 디스크립터 테이블을 로드하지 못할 때 발생할 수 있다.
  4. 미묘한 지오메트리(geometry) 불일치에 의해서 또는 Map Installer 실행 없이 /boot/map이 이동되어 두 번째 부트섹터 로더가 잘못된 주소로 로드되었다.

 

  ※ 용어 설명

  • LILO: Linux Loader의 약자로, 한 컴퓨터 안에 여러 운영체제(OS)가 설치된 경우 운영체제를 선택하여 부팅할 수 있도록 돕는 부트 매니저 프로그램
  • 디스크립터 테이블 (Descriptor Table):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관리에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 중 하나로, 프로세스의 상태, 우선순위, 자원 할당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함. 
  • 부트 로더 (Boot Loader):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로드하고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컴퓨터가 부팅될 때, 부트로더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CD-ROM 등의 저장장치로부터 운영체제의 커널을 읽어 메모리에 로드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함

 


3. 다음 중 다수의 디스크나 파티션을 하나로 묶어서 구성하는 기술과 관련있는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ext4 - LVM
  2. ext4 - RAID
  3. ext3 - ext4
  4. LVM - RAID

 

  ※ 용어 설명

  • ext: 확장 파일 시스템으로, 뒤에 있는 숫자는 파일 시스템 내 위치를 나타냄.
특징 Ext ext3 ext4
개별 파일 크기 16GB-2TB 16GB-2TB 16GB-16TB
볼륨 파일 시스템 크기 4TB-32TB 4TB-32TB 4TB-1EB
기본 inode 크기 128바이트 128바이트 256바이트
타임 스탬프 지원하지 않습니다 나노초
조각 모음 아니 아니
디렉토리 인덱싱 장애가 있는 장애가 있는 사용
다중 블록 할당 기초적인 기초적인 고급의
사전할당 아니 인코어 예약 확장 파일의 경우
지연 할당 아니 아니

 

 


4. 현재 디렉토리의 위치가 /home/user1 일 경우 다음 중 그 의미가 다른 것은?

  1. cd ..
  2. cd /home
  3. cd ./..
  4. cd home

5. 다음 명령의 실행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ihd@ihd.or.kr:/etc$users

  ihd ihd hong linux master

 

  1. /etc 디렉토리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 사용자들을 확인하고 있다.
  2.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을 조회하고 있다.
  3. 자신의 계정이 속해 있는 그룹들을 조회하고 있다.
  4. 자신의 계정이 속해 있는 그룹에 어떤 계정들이 있는지 조회하고 있다.

  ※ 용어 설명

  • users: 현재 서버에 로그인된 사용자를 전부 게시합니다.

6.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의 파티션 분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 와 스왑(Swap) 등 최소 2개의 파티션을 분할해야 한다.
  2. 리눅스를 서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4개 이상의 파티션 분할이 필요하다.
  3. /home, /var, /usr 등의 파티션은 분할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4. 처음 설치 시 분할한 파티션은 사용 중에 변경할 수 있다.

  ※ 해설

    ▶일반적으로 분할된 파티션은 사용 중에 변경할 수 없습니다. 파티션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구조를 변경하는 작업은 해당 파티션에 저장된 무결성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파티션을 변경하면 해당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이나 데이터 구조가 변경되어야 하므로, 이는 주로 파티션을 언제든지 변경할 수 없게 만듭니다.


7. 패스워드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명령과 로그인 이름(예: passwd lms)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른다.
  2. New password : 프롬프트에서 암호를 입력하면, 화면 상에 입력한 암호가 그대로 표시된다.
  3. 암호를 다시 입력하라는 프롬르트가 나오면 다시 입력한다.
  4. 설정된 암호는 원하는 때에는 언제든 변경이 가능하다.

  ※ 해설

    ▶ 보안상의 이유로서 실제로 표시되는 것은 사용자가 타이핑하는 것이 아니라 '*' 또는 다른 문자로 가려져서 표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8. 다음 설치 메뉴 중 사용 중인 리눅스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을 때 시스템 점검을 위한 선택할 수 있는 모드로 알맞은 것은?

  1. Install or upgrade an existing system
  2. Install system with basic video driver
  3. Rescue installed system
  4. Boot from local drive

  ※ 해설

    ▶ "Rescue installed system"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리눅스 시스템에서 시스템 복구를 의미합니다. 시스템이 문제가 생겨 부팅이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이를 해결하고 시스템을 복구하기 위한 작업을 말합니다.


9. 다음 중 리눅스에서 파티션을 분할하도록 권장하는 영역으로 틀린 것은?

  1. /etc    ◀ GPT의 답
  2. /tmp
  3. /usr    ◁ 족보 상의 답
  4. /var

  ※ 해설

  /etc, /tmp, /usr, /var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 각각 특정 목적을 가진 디렉터리들을 나타냅니다. 이 중에서 파티션을 분할하도록 권장하는 영역으로 틀린 것은 `/etc`입니다.

  일반적으로 /etc 디렉터리는 시스템 설정 파일을 저장하는 곳으로 사용됩니다. 시스템 설정 파일들은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과 관련이 있으며, 이 디렉터리의 크기가 크게 증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etc`를 별도의 파티션으로 분할할 필요성은 낮습니다. 

  그러나 /tmp, /usr, /var 등은 시스템 운영에 있어 크기가 자주 변할 수 있거나, 데이터가 자주 쓰이는 영역이기 때문에 별도의 파티션으로 분할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0. 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ifconfig
  2. netstat -l
  3. cat /etc/crontab
  4. route

  ※ 해설

    ▶ `cat /etc/crontab`은 크론(cron) 작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