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1436
1. 문제
문제
666은 종말을 나타내는 수라고 한다. 따라서, 많은 블록버스터 영화에서는 666이 들어간 제목을 많이 사용한다. 영화감독 숌은 세상의 종말 이라는 시리즈 영화의 감독이다. 조지 루카스는 스타워즈를 만들 때, 스타워즈 1, 스타워즈 2, 스타워즈 3, 스타워즈 4, 스타워즈 5, 스타워즈 6과 같이 이름을 지었고, 피터 잭슨은 반지의 제왕을 만들 때, 반지의 제왕 1, 반지의 제왕 2, 반지의 제왕 3과 같이 영화 제목을 지었다. 하지만 숌은 자신이 조지 루카스와 피터 잭슨을 뛰어넘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영화 제목을 좀 다르게 만들기로 했다.
종말의 수란 어떤 수에 6이 적어도 3개 이상 연속으로 들어가는 수를 말한다. 제일 작은 종말의 수는 666이고, 그 다음으로 큰 수는 1666, 2666, 3666, .... 이다. 따라서, 숌은 첫 번째 영화의 제목은 "세상의 종말 666", 두 번째 영화의 제목은 "세상의 종말 1666"와 같이 이름을 지을 것이다. 일반화해서 생각하면, N번째 영화의 제목은 세상의 종말 (N번째로 작은 종말의 수) 와 같다.
숌이 만든 N번째 영화의 제목에 들어간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숌은 이 시리즈를 항상 차례대로 만들고, 다른 영화는 만들지 않는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번째 영화의 제목에 들어간 수를 출력한다.
2. 시도
브루트 포스가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한다는 어렴풋한 기억에 의지해서 666부터 1씩 증가하는 for문을 작성했다.
import java.io.*;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result = 0;
int end = 666;
for(int i = 0; i < n; end++) {
if(finder(end)) i++;
}
System.out.print(end);
}
private static boolean finder(int end) {
int k = 0;
while(end != 0) {
k = end % 10 == 6 ? k+1 : 0;
if(k == 3) return true;
}
return false;
}
}
코딩 테스트를 조금이라도 해봤다면 예상할 수 있듯이 위의 코드는 시간 초과로 실패했다.
현재 수가 숫자열 '666'을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for문이 추가되며 O(n^2)의 시간 복잡도가 나타났고, 이건 2초만에 성공해야 하는 제한 상 실패하는 게 당연했다.
아무튼 위의 결과를 마주하기까지 30분이 소요되었고, 결국 오늘도 다른 사람의 블로그를 방문했다.
3. 풀이
import java.io.*;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num = 666;
int count = 1;
while(count != n) {
num++;
if (String.valueOf(num).contains("666")) count++;
}
System.out.println(num);
}
}
이 코드를 보면서 인상 깊던 두 가지는 1) num을 666부터 시작하여 1씩 증가하는 접근을 for문이 아닌 while문으로 진행할 때 고려할 종결 조건과 2) int 형을 String으로 변경하여 contains()를 적용한다는 발상이었다.
참고 출처: https://st-lab.tistory.com/103
4. 알게 된점
1) 문제를 더 많이 풀어야 겠다.
2) 심지어 위의 풀이보다 더 좋은 풀이가 있었는데 그런 발상은 또 어떻게 한 건지 신기했다.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2789 : 도키도키 간식드리미 (0) | 2023.10.29 |
---|---|
[백준] 2485 : 가로수 (1) | 2023.10.28 |
[백준] 1269 : 대칭 차집합 (0) | 2023.10.26 |
[백준] 23505 : 커트라인 + 버블 / 선택 / 삽입 정렬 알고리즘 정리 (1) | 2023.10.26 |
[백준] 11653 : 소인수분해 (0) | 2023.10.17 |